자주 쓰이는 선택자들 말고 유용한 선택자들이 있어서 추가로 정리해 보았다.
1. X : not(선택자)
div:not(.container) {
color: blue;
}
div를 선택하는데 클래스 값이 container인 div를 제외하고 선택된다.
2. X + Y 인접 선택자
div + p {
color : blue;
}
앞의 요소 바로 뒤에 있는 요소만 선택한다.
위 코드를 예로들면 각 div들 뒤에 오는 첫 번째 단락의 p만 빨간색이 됩니다.
3. X:hover Y (hover 와 Y사이에 띄어쓰기)
<div id:container>
<div id:cube> </div>
</div>
<style>
#container:hover #cube {
background-color : yellow;
}
</style>
container라는 아이디를 가진 엘리먼트에 마우스를 호버시키면 #cube에 css가 적용된다.
! 엘리먼트 X(#container)안에 엘리먼트 Y(#cube)가 있을 때 적용 가능. 부모 - 자식관계.
4. X:hover ~ Y
<div id="container"> </div>
<div id="cube"> </div>
<style>
#container:hover ~ #cube {
background-color : yellow;
}
</style>
container라는 아이디를 가진 엘리먼트에 마우스를 호버시키면 #cube에 css가 적용된다.
! 엘리먼트 X(#container)와 엘리먼트 Y(#cube) 가 형제 관계일때.
'Frontend Study - 2 > HTML &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SS : Styled-Components 활용법 + typescript (0) | 2022.07.31 |
---|---|
이미지 삽입의 2가지 방법 차이점 html <img> vs css background-image (0) | 2022.07.04 |
CSS : width/height 값 헷갈림 방지 (px, %, vh/vw) (0) | 2022.07.02 |
CSS : 코드작성법 Bottom up방식 (0) | 2022.07.02 |
CSS : (Position - relative, absolute, fixed) / inline /inline-block / block (0) | 2022.06.21 |